IP(Internet Protocol)

​ 1. 개요

   -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(Packet Switching Network)에서

      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

 

    - OSI 네트워크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

    ​IP의 정보는 패킷 혹은 데이터 그램이라고 하는 덩어리로 나뉘어 전송됨


    - IP는 비신뢰성(Unreliability)과 비연결성(Connectionlessness)이 특징

     * 보태자면...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때문에, 보낸 정보가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않음


​ 2. IP 구조

    - IP주소는 32Bit(4Byte)길이로 구성된 논리적인 주소체계임


11111111(8bit)

11111111(8bit) 

11111111(8bit) 

11111111(8bit) 

 255

255

255

255

Octet 1

Octet 2

Octet 3

Octet 4

     * 2진수를 10진수로 계산시, 8bit가 전부 1 이라고 가정할 때, 255가 나오므로, 옥탯별로 IP는

       0~255의 범위를 가지며, 부여할 수 있는 IP의 개수는 256개가 됨


​ 3. IP Class의 개념

    - IPv4는 인터넷 프로토콜의 4번째 판이며,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첫 번째 인터넷 프로토콜임

    - 주소체계는 총 12자리이며, 네부분으로 나뉨, 0~255까지 3자리의 수로 표현함

    - 32비트로 구성하며, 현재에는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인한 IP의 고갈현상으로 IPv6가 등장함


 CLASS

구 성

범 위

예 

A

XXX.XXX.XXX.XXX

1.0.0.1 ~ 126.255.255.254

81.211.122.22 

B

XXX.XXX.XXX.XXX

128.0.0.1 ~ 191.255.255.254

181.124.201.31 

C

XXX.XXX.XXX.XXX

192.0.0.1 ~ 223.255.255.254

225.28.221.21 

D

 

224.0.0.0 ~ 239.255.255.255

 

E

 

240.0.0.0 ~ 254.255.255.254

 

     *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Network ID와 Host ID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함...

     * 위 표를 보면... 첫번째 옥탯의 범위에 따라 클래스가 달라지는것을 확인할수 있음


A Class

 116

88

94

11

Network ID

HOST ID

HOST ID

HOST ID

* 첫번째 옥탯이 0~127 사이에 있으므로, 현재 이 IP주소는 A Class에 속해 있다는 것을 알수있네요

또 A Class 이므로, 1옥탯은 Network ID이고, 2~4옥탯은 HOST ID라는 것도 알수 있게되었네요


B Class

 183

88

94

11

Network ID

Network ID

HOST ID

HOST ID

* 마찬가지로 첫번째 옥탯이 128~191 사이에 있으므로, 현재 이 IP주소는 B Class에 속해 있다는 것을 알수있네요. 또 B Class 이므로, 1~2옥탯은 Network ID이고, 3~4옥탯은 HOST ID라는 것도 알수 있게되었네요


C Class

215

88

94

11

Network ID

Network ID

Network ID

HOST ID

* 첫번째 옥탯이 192~223 사이에 있으므로, 현재 이 IP주소는 C Class에 속해 있다는 것을 알수있네요/ 또 C Class 이므로, 1~3옥탯은 Network ID이고, 4옥탯은 HOST ID라는 것도 알수 있게되었네요



용어정리

호스트(HOST)

통신을 통해 다른 컴퓨터들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 

패킷(Packet)

데이터(정보)를 일정 크기로 자른것 : 데이터의 단위

데이터그램(Datagram)

IP계층의 패킷 : 버전, 헤더길이, 서비스타입, 전체길이, 식별자, 플래그, 단편화옵셋, 수명, 프로토콜, 검사합, 송신자 IP, 수신자IP, 옵션

Octet

초기 컴퓨터들은 1바이트가 8비트만을 의미하지 않아서, 8비트를 명확히 정의 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함. 현재엔 1바이트를 의미함 

Network ID

많은 HOST들을 범위를 지정하여 나누어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냄

HOST ID

Network ID가 대한민국, 대전광역시, 서구, 갈마동 이라면,

HOST ID는 000번지, 000호 처럼 세부주소가 됨 


서브넷마스크(Subnet Mask)

​ 1. 개요

   - IP주소 체계의 Network ID와 HOST ID를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 

       "네트워크 영역을 분리 또는 합체" 시키는 개념

   - 네트워크를 분리하는걸 "서브넷팅"이라고 하며, 합치는걸 "슈퍼넷팅"이라고 함


 Network Prefix

Host Number 

* IP주소를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분리시켰을때 ↓


 Network Prefix

Subnet Number

Host Number


   - IP주소 뒤에 /24 같은 것들을 Prefix(접두어)라고 하며, Prefix는 서브넷 마스크의 bit수를 의미함

   - 8비트가 모두 1일 경우 10진수로 255가 되므로, 예를 들어 192.168.0.3/24 라는 IP는

      IP주소가 192.168.0.3 이며,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255.0 이라는 의미임

    ("/24"는 좌측부터 1비트가 24개 있다는 의미,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)



서브넷팅(Subnetting)

 1. 서브넷팅의 이해

   - 예로, A클래스 IP주소 1.1.1.1을 그대로 할당하게 되면, Network ID가 1.0.0.0 이 되며,

      HOST ID가 0.1.1.1이 됨. 이때 HOST ID범위는 0.0.0.0~0.255.255.255가 되므로, 

     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가 많아져  비효율적이게 됨.

   - Subnet mask를  255.255.0.0으로 변경하였을때, Network ID가 1.1.0.0이 되며, 

       HOST ID는 0.0.1.1이 됨


 2. 서브넷팅의 특징

   - 2진수로 표현시, Network ID부분에 1이 연속적으로 있어야 함

   - 2진수로 표현시 HOST ID부분은 0이 연속적으로 있어야 함

   - 중간에 1이나 0이 들어올수 없으며,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ID를 1Bit씩 확장함

      이때 1Bit마다 네트워크 할당 가능 수는 2배가 됨

      (예로, "11111111.11111111.11111111.00000000" 255개, 

             "11111111.11111111.11111111.10000000" 은 128개가 할당 가능함)

   - 서브넷팅을 통해 Network ID가 확장되었을때(할당할 수 있는 네트워크수는 증가)의 장단점 :

      └ 특정 몇 군데의 호스트에서 너무 많은 트래픽을 발생시킬때, 속도저하 문제를 해결할수 있음

      └ 네트워크가 분리되므로, 다른 네트워크 통신시 라우터를 거쳐야 함



 2. 서브넷팅 계산방법


194.139.10.0/26

194.139.10.0/26

Network Address

194.139.10.1 ~ 194.139.10.62

Host IP

194. 139.10.63

Broadcast Address

194.139.10.64/26

194.139.10.64/26

Network Address

194.139.10.65 ~ 194.139.10.126

Host IP

194. 139.10.127

Broadcast Address

194.139.10.128/26

194.139.10.128/26

Network Address

194.139.10.129~ 194.139.10.190

Host IP

194. 139.10.191

Broadcast Address

194.139.10.192/26

194.139.10.192/26

Network Address

194.139.10.193~ 194.139.10.254

Host IP

194. 139.10.255

Broadcast Address


서브넷 a.a.a.0 이면 0~255까지.
서브넷 a.a.a.128 이면 0~127, 127~255 2개.
서브넷 a.a.a.192 이면 0~63, 64~127,128~191, 191~255 4개.
서브넷 a.a.a.224 이면 0~31, 32~63, 64~95, 96~127, 128~159,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60~191, 192~223, 224~255 8개.


ex) 내 컴퓨터 IP주소가 165.132.120.10,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252.0 일시

→ IP 주소는 2진법 10100101 10000100 01111000 01100100

→ 서브넷 주소는 11111111 11111111 11111100 00000000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→ AND 연산시 10100101 10000100 01111000 00000000

→ Network 주소: 165. 132. 120. 0

→ HOST ID 1로 치환 10100101 10000100 01111011 11111111

→ 브로드캐스트 주소: 165. 132. 123. 255

→ 내 컴퓨터의 IP주소가 속한 네트워크는 165.132.120.0~165.132.123.255 이며,

각 첫 번째 주소와, 마지막 주소 두 개는 호스트에 할당할 수 없음.





P.S


* 라우터 :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중계해주는 장치

* AND 연산 : 쉽게 말하면 곱한다라고 생각하면 됨. (1X1="1"/ 1X0="0" / 0X0="0")

'공부하자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P(Internet Protocol)_Class의 개념  (0) 2018.03.08

한글2007이 ATL71.DLL을 찾을수 없다며 재잘되면서 사용 안될때 받아서 쓰세요


첨부파일에 ATL71.DLL / mfc71.dll / MSVCP71.DLL / msvcr71.dll / nvcpl.dll

5가지 파일 압축되어 있습니다. ( ATL71.DLL 없다고 오류뜬다고 ATL71.DLL 만 복사하면

나중에 mfc71 msvcp71.dll ~~ 없다고 또 뜰수 있으니까 5개 모두 복사하는게 편해요(시간=금)

 

압축파일을 압축을 푸시고 C드라이브 -> Windows폴더 -> system32 폴더 안에 파일들을 넣어주시면되요.

 

저같은경우는 windows7 을 사용중인데, system 폴더에 넣으니 잘 작동 됩니다.





한글오류+DLL파일+모음.zip
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