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정보 확인하고 저장하기


-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기 -

en

show ip route

copy r s


- 인터페이스 정보 확인하고 저장 -

en

show interface

copy r s


- 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 -

en

show user

copy r s


-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 -

en

show process

copy r s


- 플래쉬 내용을 확인하고 저장 -

en

show flash

copy r s


- 소프트웨어 버전 조회 -

en

show version

copy r s



2.  설정후 저장하기

Interface fastethernet 0/0 의 IP와 Sub넷 설정

IP: 192.168.0.100/24 

fastethernet 활성화

 

en
conf t
interface fastethernet 0/0
ip add 192.168.0.100 255.255.255.0
no shutdown
exit
exit
copy r s

 

DHCP 네트워크 IP: 192.168.100.0/24
서버이름 : icqa

 

en
conf t
ip dhcp pool icqa
network 192.168.100.0 255.255.255.0
exit
exit
copy r s

 

Serial 2/0을 사용가능하게 IP주소를 변경
IP: 192.168.0.101/24
IP: 192.168.0.102/24
활성화

 

en
conf t
interface serial 2/0
ip add 192.168.0.101 255.255.255.0
ip add 192.168.0.102 255.255.255.0 secondary
no shutdown
exit
exit
copy r s

 

기본 게이트웨이 설정
IP : 192.168.0.10

 

en
conf t
ip default-gateway 192.168.0.10
exit
copy r s

 

Serial 2/0의 대역폭을 2048로 설정

 

en
conf t
interface serial 2/0
bandwidth 2048
exit
exit
copy r s

 

console 0의 패스워드를 ICQA로 설정 후 로그인

 

en
conf t
line console 0
password ICQA
login
exit
exit
copy r s

 

Telnet 연결 후 3분 50초 동안 입력 없으면 세션 종료

 

en
conf t
line vty 0 4
exec-timeout 03 50
exit
exit
copy r s

 

Telnet Password를 icqa로 설정 후 로그인

 

en
conf t
line vty 0 4
password icqa
login
exit
exit
copy r s

 

Serial 2/0 활성화

 

en
conf t
interface serial 2/0
no shutdown
exit
exit
copy r s

 

FastEthernet 0/0 Description 설정
Description(주석) : ICQA

 

en
conf t
interface fastethernet 0/0
description ICQA
exit
exit
copy r s
 
Serial 2/0의 클럭속도 72K로 설정
 
en
conf t
interface serial 2/0
clock rate 72000
exit
exit
copy r s
 
Hostname을 network2로 변경
console 0의 password를 route5로 변경
로그인
 
en
conf t
hostname network2
line console 0
password route5
login
exit
exit
copy r s


1. 물리계층


- Coax

- Fiber

- Wireless



2. 데이터링크 계층


- Ethernet 

- FDDI

- SLIP : 전화선과 같은 시리얼 라인을 통해 인터넷상의 호스트에 접속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

- PPP : 전화선과 모뎀을 이용해 인터넷을 접속 할 수 있는 프로토콜



3. 네트워크 계층


- IP

- IPSec : 노드간 IP통신의 보안 확보를 위해 인증, 데이터 무결성 보장, 암호화 담당하는 프로토콜 모음

- ICMP : 인터넷 통신에서 오류에 관한 처리를 지원하는 용도

- IGMP : 특정 그룹에 속하는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(Multicasting)



4. 전송 계층


- TCP

- UDP

- ECN

- SCTP

- DCCP



5. 세션 계층


- VARIOUS API'S

- SOCKETS



6. 표현 계층


- SSL : 데이터 전송시 기밀성 보장

- FTP : 파일 송수신 서비스

- IMAP : POP3보다 유연하고 뛰어난 성능, 메일 수신을 위한 통신 규약

- SSH : 원격접속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네트워크 보안 도구 중 하나



7. 응용 계층


- HTTP : 웹서버와 사용자 웹브라우저간 문서 전송을 위한 통신 규약(WWW)

- FTP : 파일 송수신 서비스

- IRC : 채팅용

- SSH : 원격접속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네트워크 보안 도구 중 하나

- DNS : 도메인 을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서비스



1. 물리 계층


- 트랜시버 : 데이터 송수신

- DSU(Digital Service Unit) :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

- CSU(Channel Service Unit) : 전기적 간섭을 차단

- 리피터 : 물리적 신호를 증폭

- 허브(=멀티포트 리피터)



2. 데이터링크 계층


- 랜카드(=NIC: Network Interface Card)

- 브리지(Bridge) : 복수의 네트워크를 세그먼트로 연결하고 패킷전송에 이용, 이더넷과 토큰링 네트워크 연결, 서로다른 네트워크간 접속,S/W 기반

- 스위치(=멀티포트 브리지) :  H/W 기반



3. 네트워크 계층


- 라우터 : 서로다른 네트워크 간 접속, 복수의 네트워크간 데이터 전송

+ Recent posts